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1226-13-201-42a/s-AHAt9YNTh8m?si=2c8a8acd4fad451f86c3dd80991bff01&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11225-118-25a/s-qsKsqc3jDTE?si=5a628ed12e3b43e78360e0b5a1393ea2&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세상에 없는 소망
(12. 25. 2021.)

골로새서 1:5

 

하나님은 좋으신 분이라고 배웠다. 하지만 삶에 모든 것이 만족스럽진 않다. 더 충분히, 더 확실하게 내 삶을 행복하게 해주시지는 않는 것 같다. 크리스마스가 기쁘지만은 않은 이유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궁극적인 복은 하늘에 있다. “너희를 위하여 하늘에 쌓아 둔 소망으로 말미암음이니 곧 너희가 전에 복음 진리의 말씀을 들은 것이라”(골로새서 1:5) 하나님은 내가 이 땅에 소망을 두지 못하게 만드신다. 주시지만, 다 주시지 않는다. 해결하시지만, 다 해결하시지 않는다. 세상은 지긋지긋하고, 답답하고, 지겹고, 더럽다는 것을 철저하게 느껴야 한다. 그래야 하늘에 소망이 있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날이다. 왜 오셨는가? 세상에 소망이 없는 것을 알고 오셨다. 그분을 통해서 하늘의 소망이 우리의 것이 될 수 있다. 세상에서 해결 가능했다면, 굳이 그는 오실 필요가 없었다. 크리스마스의 메시지가 이것이다. “이 세상은 살 만한 곳이 못된다.” “세상의 것을 즐겨봐야 별로 만족이 없다.” 우리에겐 더 재미있는 곳, 더 살만한 곳이 있다. 그것이 하나님 나라이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내 인생에 가장 소망 없는 곳까지 가셨다. 그것이 내가 맞이해야 할 죽음이었다. 내 인생 평생의 삶 중에 가장 소망 없는 곳에 가셔서, 부활 소망을 주셨다. 주님이 내 삶에 가장 소망 없는 곳까지 가셨다면, 그분을 믿는 나의 인생도 달라져야 한다. 세상이 내 삶을 바라보며 아무 소망이 없다고 말해도, 그분께만 소망을 두는 그 길을 걸어야 한다.

 

이 땅이 살만 하다고 느끼다면, 당신의 삶에는 아직 예수님이 찾아오지 않으신 것인지 모른다. 이 땅은 살 만한 곳이 못된다. 이 말을 꼭 명심하라. 가볍게 살다가, 하늘로 가자. 우리 데리러, 예수님이 오셨다.

 

[1] 내 삶을 채워주시는 하나님을 향한 감사도 물론 많지만, 아쉬움도 있기 마련입니다. 무엇입니까?

 

[2-3] 골로새서 1장 5절을 읽어봅시다. 바울은 소망을 어디에 쌓아 둔다고 이야기합니까? 반대로, 성경은 이 땅에 대해서는 어떻게 묘사합니까?

 

[4-5]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내 삶의 어디까지 대신 가주셨습니까? 내가 이 땅에서 가야할 길은 무엇입니까? 삶의 방향에 대해 다시 묵상해봅시다.

“폐쇄적인 사랑 vs. 파생적인 사랑
(12. 26. 2021.)

요한복음 21:15-16

 

사랑은 파생적인 결과를 낳는다.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그 대상만 사랑한다면, 무조건 잘못된 사랑이다. 청소년기의 사랑을 보라. 서로 둘만 좋아서 놀다가 끝난다. 폐쇄적이다. 파생적인 것이 없다. 하지만 결혼을 해보라. 부모 집을 떠났는데, 오히려 부모를 더 챙긴다. 매일 부부가 같이 사는데, 오히려 자녀를 더 챙긴다. 상대의 좋은 점이 아니라,상대 인생의 짐과 고통까지도 짊어진다.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파생적인 것이 나온다. 하나님이 디자인하신 사랑이다.

 

예수님의 사랑은 파생적인 사랑이다.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사랑을 묻는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요한복음 21:15) 사랑한다고 대답했더니, 예수님이 말씀하신다. “내 어린 양을 먹이라”(15) 나를 사랑한다면, 나랑 평생 같이 다니자고 하지 않으셨다. 양떼를 사랑하라고 하신다. 도식화 하면, 예수님 사랑 = 양 사랑이었다. 예수님을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은, 절대 예수님을 사랑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양을 사랑하기 시작하는 것, 그것이 파생적인 사랑이다.

 

교회를 담임하다 보면, 실제로 목사를 좋아해주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난 솔직히 그런 사람을 별로 믿지 않는다. 목사’만’ 좋아하기 때문이다. 끝까지 목사의 특별한 관심만 원한다. 교인들에겐 무관심이다. 교회 사역은 해본 적도 없다. 폐쇄적인 사랑이다. 파생적인 것이 없다. 내가 가장 존경하는 사람이 있다. 목사와는 별로 연락도 안하는데, 알아서 교회와 성도를 챙기는 사람이다. 파생적인 사랑이 진짜다.

 

내 사랑이 파생적인 결과를 낳는지 점검하라. 나의 일을 사랑하는가? 일을 사랑하기에, 팀 전체가 같이 살아나고 있는지 돌아보라. 여자친구를 사랑하는가? 사랑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의 어려움을 돌보게 되는지 확인하라. 돈을 사랑하는가? 주변 사람들이 당신 돈 버는 걸 좋아하고 있는지 함께 확인해보라.

 

예수님은 어떻게 사랑하셨을까? 간단하다. 예수님은, 우리를 사랑하신 방식으로, 하나님을 사랑하셨다. 이해되는가? 나는 이미 예수님의 파생적인 사랑을 누리고 있다. 당연히 나도 그렇게 살아야 한다. 우리를 사랑하시다가, 죽으셨지만 부활하셨다. 나도 파생적인 사랑하다가 많이 힘들 것이다. 하지만 부활도 나의 것이다. 파생적인 사랑이 성도가 배워야 할 사랑이다.

 

[1] 내 인생에 가장 사랑했던 대상들을 나열해봅시다. 다른 것을 배제하고 사랑의 대상에만 몰입했던 경험과, 사랑할수록 파생적으로 넓어졌던 경험을 비교하여 나누어봅시다.

 

[2] 요한복음 21장 15절을 읽어봅시다.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무엇을 물어보십니까? 베드로의 대답에 예수님은 사랑의 방식을 어떻게 가르쳐주셨습니까?

 

[3-5] 내가 최근에 집중하고 사랑하는 것들을 나누어봅시다. 폐쇄적인 사랑입니까, 파생적인 사랑입니까? 최근의 내 삶의 패턴이 예수님이 가르쳐 주시는 사랑의 방식이 맞는지 점검해봅시다.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1219-12-181-1924a/s-DAj1u7UiiM6?si=464485ef30fe459db0a2e2792b8e2f1d&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폭풍 속 평안의 시작
(12. 19. 2021.)

마가복음 4:37-39

 

사람의 멘탈이 한번 흔들리기 시작하면 겉잡을 수 없다. 관계, 돈, 질병, 죽음… 나는 멘탈이 강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다 거짓말쟁이다. 이것에서 버텨도, 저것에서 넘어지기 마련이다. 인생의 다양한 환란 속에 온전히 버틸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 땅엔 두 종류의 사람만 있다. 멘탈이 이미 무너져본 사람과, 멘탈이 곧 무너질 사람이다.

 

베드로가 배를 타다가 멘탈이 나갔다. 광풍과 물결이 몰아쳐 배가 잠기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폭풍 속에서 베드로의 평안은 이렇게 시작된다. “선생님이여 우리가 죽게 된 것을 돌보지 아니하시나이까”(마가복음 4:38) 성경은 폭풍 한 가운데서 평안의 시작을 소개한다. 예수님의 권세를 의지하는 것이다. 예수님으로부터, 고요함이 시작된다. “예수께서 깨어 바람을 꾸짖으시며 바다더라 이르시되 잠잠하라 고요하라 하시니 바람이 그치고 아주 잔잔하여지더라”(마가복음 4:39) 내 힘으로 잔잔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을 불렀더니, 풍랑이 잠잠해졌다.

 

어디서부터 손을 댈지 모르는 삶의 문제들이 생길 때가 있다. 너무 급박한 일을 당할 때도 있다. 혼란 속에, 이것저것 해보지만 잡히는 것이 없다. 그때, 내면에서 예수님의 권세를 먼저 구하라. “예수님, 도와주세요”, “예수님, 무엇부터 할까요?”, “예수님, 어떻게 말할까요?” 먼저 의지해보라. 예수님의 권세를 구하는 순간의 겸손한 기도가, 삶에 평안을 가져오기 시작한다. 보고에 들어가기 전에 기도하라. 중요한 미팅 전에 기도하라. 돌발이 생겼을 때 기도하라. 거기서부터 평안이 시작된다.

 

예수님이 죽음의 급박한 상황까지 몰리셨다. 마지막까지 아버지의 권세를 의지하신다.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누가복음 23:46) 예수님은 죽음 앞에서도 평안을 경험하셨다. 우리 대신 죽으심을 통해, 그 평안이 내게도 주어졌다. 죽음도 부활로 이길 것임이 보장되어 있다. 그렇다면 지금 당면한 내 인생의 풍랑 속에서도 확신할 수 있다. 너무 혼란스럽지만, 주님 의지하면, 분명히 다시 평안을 찾을 것이다.

 

열심히는 살지만 평안은 깨져버린 일상에서 이제 벗어날 때가 됐다. 다시 주님을 부르는 데서부터 시작하라. “바람이 그치고 아주 잔잔하여지더라”(4:39) 아주 잔잔해지는 경험이, 당신에게도 약속되어 있다.

 

[1] 인생에서 최고로 멘탈이 무너졌던 경험이 있습니까? 어느 때였습니까? 생각과 행동이 어떻게 바뀌던가요?

 

[2] 마가복음 4장 38절을 읽어봅시다. 베드로는 풍랑 속에서 누구를 불렀습니까? 39절을 읽어봅시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자 바다는 어떻게 변화되었습니까? 예수님은 어떤 권세를 가지신 분입니까?

 

[3-5] 급박한 문제를 만났을 때 순간적인 나의 해결의 성향을 나누어봅시다. 예수님을 초청하는 것이 우선되고 있습니까? 문제 속에서 평안을 먼저 경험하기 위해 나는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겠습니까?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1212-11-171-58a/s-hC8sTVNtzEE?si=e231ecb40f4a458bb7f5ab1ff27b80e6&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배우는 겸손
(12. 12. 2021.)

잠언 10:21

 

사람의 경험은 의외로 제한적이다. 부모, 학교, 친구 몇 명을 지나가면 정식 배움이 끝난다. 그 다음엔 그냥 사는 것이다. 나이는 들었는데, 여기저기 사고가 난다. 면허 없이 인생의 운전대에서 헤매는 느낌이다.

 

성경은 내가 죽을 수 있는 길을 알려준다. 지식이 없으면 죽는다. “의인의 입술은 여러 사람을 교육하나 미련한 자는 지식이 없어 죽느니라”(잠언 10:21) 돈이 없어 죽지 않는다. 기회가 없어 망하지 않는다. 배우지 않아서 죽는다. 그래서 새로운 일, 새로운 환경에 가면 배우는 겸손이 있어야 한다. “대충 하면 되겠지”, “내 나이가 몇인데”라고 고집부리다가 어려워진다.

 

사람한테 너무 퉁명스럽다. 그러면 대화를 배워야 한다. 마음만 좋다고 될 일이 아니다. 난 친구가 왜 없을까? 난 왜 이렇게 돈이 안 모일까? 난 왜 이렇게 옷을 못 입을까? 왜 맨날 오래가지 못하고 헤어지는 것일까? 무엇이 잘못 되었을까? 자존심 상해 하지 말고, 배워야 한다. 왜 오은영 박사가 육아를 넘어 성인들에게까지 유행하는가? 배우면 살기 때문이다. 알면 살기 때문이다.

 

예수님을 믿고 나서 나타나는 변화의 특징이 있다. 배우는 지식 마저 바뀐다는 것이다. “새 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이의 형상을 따라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입은 자니라”(골로새서 3:10) 사람은 죽는다. 그러나 예수님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었다. 죽음 이후에는 부활이 있다.

 

예수님을 믿으면 내 삶에 모든 죽어가는 것에 소망이 생긴다. 망하고 죽은 곳이지만, 제대로 배우면, 제대로 알면 분명히 다시 살아날 수 있다. 차근차근 배우라. 대충대충 넘어가지 말라. 기도만 하면 안된다. 가끔은 기도를 열심히 하는 것보다, 하나님 앞에서 제대로 배워야 일이 풀릴 때가 있다. 신자는, 언제나 지식을 새롭게 하는 사람들이다.

 

[1] 인생에서 많은 것이 배우지 않은 상태로 시작할 때가 많음을 깨닫게 됩니다.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시작하여 시행착오가 많았던 경험이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2-3] 잠언 10장 21절을 읽어봅시다. 성경은 무엇이 없으면 죽는다고 말합니까? 최근 오은영 박사가 성인들에게까지 유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배움과 관련되어 생각해봅시다.

 

[4-5] 골로새서 3장 10절을 읽어봅시다. 신자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생기는 지적인 변화는 무엇입니까? 내가 하나님 앞에서 겸손히 배워서 문제를 해결해야할 삶의 영역을 나누어봅시다.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1205-10-161-23a/s-1efuW7wHdw8?si=a80fe14b162d4016a369737879113d48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11203-91-3a/s-1lXW3Nvfne2?si=2dc83c0dd7c24035a925086c554db15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