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의 침투”
(8. 4. 2013)
 
사랑하면  주고 싶어진다사랑하면 계산이 사라진다그것이 사랑의 본질이다얼마짜리인지얼마나 시간을 보냈는지 중요하지 않다학교에서 직장에서 학점과 실적에 목을 매는 사람이 있다아무리 그래도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 모두 바보로 바뀐다효율을 잊었기 때문이다사랑에 효율이 침투하는 순간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도 효율이 사라지는 시간이 있다그것이 바로 주일이다“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엿새 동안은 힘써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째 날은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너나  아들이나  딸이나  남종이나  여종이나  가축이나  문안에 머무는 객이라도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는 엿새 동안에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일곱째 날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출애굽기 20:8-11) 그리스도인은 6 동안 효율적으로 일한다그러나 주일엔 자신의 일을 쉰다학생은 공부를 내려놓고직장인은 일을 내려놓고 하나님을 바라본다주일은 효율이 사라지는 날이다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 속에 들어가는 날이다
.
 
장거리 연애를 욕하는 사람이 있다“얼마 만날 시간도 없고 피곤하지 않니차라리 가까운 사람을 만나”라고 말한다사랑을 모르는 사람이나 하는 말이다잠깐 만나는  시간을 위해 기꺼이   시간을 포기하는 그게 사랑이다하나님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집에서 설교만 들으면 되는  아니냐새벽기도 나오면 피곤하니 차라리 평소에 기도하는게  효율적이지 않느냐? 사랑에 효율을 들고 나오는 순간 변질된 것이다 삶에 여러가지 사랑의 모습들을 점검하라효율이 사랑을 가로막아선  된다
.
 
팀모임을 싫어하는  팀원이 말했다“저는 이런 모임 하면 너무 시간낭비 하는  같아요쓸데없는 이야기만 하는  같고배우는 것도 별로 없는  같아서요. 속으로 생각했다“넌 효율에 갇혀있구나. 사랑이 없으니효율만 생각하는 것이다예배도 효율적으로만 드리려고 하는 것이다사람은 효율만으로   없다오늘도 효율의 침투를 점검하라사랑에 효율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라삶의 모든 사랑의 관계가 회복  것이다.

“내가 그의 응답이 된다”
(7. 28. 2013)

하나님은 사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원하신다. 나를 통해 주변 사람들을 살리기 원하신다. E.M. 바운즈는 그것을 “하나님의 방법은 사람이다.(Men are Gods method.)”라고 표현했다. 주변에 문제가 보이는가? 해야 할 일이 있는가? 하나님이 주목하시는 사람을 찾으라. 그 사람이 하나님의 해결 방법이다.

교회에 삶이 너무 어려워 학업을 지속하기 힘든 중학생이 있었다. 집에서는 아무 것도 해줄 수 없었다. 안타까운 마음에 공부를 잘하는 대학생 팀원을 멘토로 소개시켜줬다. 그 중학생은 주일에 공짜로 고액과외를 받는 셈이 되었다. 그 학생은 자기 삶의 큰 문제가 너무 쉽게 풀려서 당황했다. 멘토 대학생은 별거 아닌데 너무 고맙다고 하니 더 당황했다. 그 대학생은 한 중학생을 돕기 위한 하나님의 방법이었다.

사람이 가진 모든 것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재능이 많은 것, 체력이 좋은 것, 성격이 좋은 것 모두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하나님이 주신 것을 인정하는 사람은 자랑하며 살지 않는다. 오로지 주변을 섬기며 살아간다. “온 율법은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 같이 하라 하신 말씀에서 이루어졌나니 만일 서로 물고 먹으면 피차 멸망할까 조심하라”(갈라디아서 5:14-15) 내 것을 자랑하고, 서로 물고 먹으면 모두 멸망할 뿐이다. 내 주변을 사랑할 때 삶의 재미가 있다.

누군가의 응답이 되고 싶다면 공동체 속으로 들어가라. 누군가의 응답이 되고 싶다면 주변의 상황을 살피라. 혼자 있지 말라. 혼자 먹지 말라. 혼자 쓰지 말라. 힘들고 불편해도 팀모임에 가라. 힘들어도 가족, 친구와 시간을 보내라. 생각지도 못한 나의 격려 한마디, 위로 한마디가 주변을 살리게 될 것이다. 하나님의 방법은 당신 한 사람이다. 오늘도 하나님의 도구로 쓰임 받을 준비를 하라. 내가 그의 기도 응답이 되는 체험을 할 것이다.

 

 

“다음 스텝을 준비하라”
(7. 21. 2013)

화장실은 깨끗함이 목적이 아니다. 군대에서 화장실이 급해서 달려갔더니, 선임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았다. 왜 막으시냐고 물었더니, 지금 청소를 해놓아서 깨끗하니 들어가지 말라는 것이다. 깨끗함만 추구하면, 이러한 모순에 빠진다. 들어가지 못하는 화장실은 필요없다. 깨끗함에는 목적이 있어야 한다. 화장실은 청소한 후 마음껏 사용해야 한다.

한 농부가 있었다. 밭을 갈았으면 씨를 뿌려야 하는데, 계속 땅 고르기만 하며 지내는 것이다. 그게 이사야 28장의 스토리다. “파종하려고 가는 자가 어찌 쉬지 않고 갈기만 하겠느냐 자기 땅을 개간하며 고르게만 하겠느냐 지면을 평평히 하였으면 소회향을 뿌리며 대회향을 뿌리며 소맥을 줄줄이 심으며 대맥을 정한 곳에 심으며 귀리를 그 가에 심지 아니하겠느냐”(이사야 28:24-25) 밭 갈았으면 씨를 뿌려야지 뭐 하고 있냐는 하나님의 경고이다
.

씨를 뿌린다는 것은 다음 스텝을 준비하는 것이다. 밭을 갈았으면 다음에 무엇을 할지 생각해야 한다. 합격했는가? 그 다음엔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방학했는가? 다음 학기는 무엇에 집중할 것인지 생각해보라. 전도했는가? 그 친구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실패했는가? 이 실패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 것인가? 밭을 갈았으면 이제 어떤 씨를 뿌릴지 생각하라. 무슨 일이든 그 다음에 벌어질 일들을 상상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

우리 교회 한 중학생이 영어를 100점 맞았다고 자랑했다. 그러나 수학을 두 개 맞아서 수학은 포기하려 한다고 이야기했다. 난 이렇게 미래를 그려주었다. “넌 대학 입시에서 수학 때문에 원하는 대학에 못 갈 거야. 그래서 이렇게 말하게 될 거야. "그 때 수학 조금만 더 할 걸. 수학에 손대지 않다가 삶이 꼬였네"” 그 친구는 상상만 해도 그렇게 되긴 싫다고 이야기 했다. 그 날부터 그는 영어보다 수학을 더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영어만 공부하지 말라. 화장실 청소만 하고 있지 말라. 다음을 스텝을 상상하고, 그에 맞는 씨앗을 뿌리라. 풍성한 미래를 얻게 될 것이다.

“실력이 없어도 타협하지는 말라”
(7. 14. 2013)

실력이 있으면 자기주장이 가능하다. 축구를 잘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이 전략을 지시하면 사람들은 그 주장을 받아들인다. 축구를 잘하니까 그 말을 인정해 주는 것이다. 탁월한 디자이너가 있다. 옷차림에 대해 이야기하면 사람들이 들어준다. 그 분야에서 실력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실력이 없으면 주장하기 어렵다. 그리스도인은 왜 술자리에서 어려운가? 일도 못하는데 술까지 안 마시겠다고 하니 조롱 당하는 것이다. 신입이 눈치 없이 기도하고 밥 먹으니 분위기 깬다고 욕먹는 것이다. 실력이 없을 땐 거절하기 어렵다. 결국 타협하는 인생을 살기 쉽다.

블레셋과의 큰 전쟁을 앞둔 사울이라는 왕이 있었다. 예배 드린 후 싸워야 하는데 선지자 사무엘이 오지 않았다. 다급한 사울은 자기가 멋대로 예배드렸다. 그리고 늦게 온 사무엘에게 세 가지 변명을 한다. 1)백성은 내게서 흩어지고, 2)당신은 정한 날 안에 오지 아니하고, 3)블레셋 사람은 믹마스에 모였음을 내가 보았으므로”(사무엘상 13:11) 지금의 언어로 바꾸면 이렇다. 1)나처럼 믿음 지키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 2)기도해도 응답이 없어, 3)주변이 날 공격해, 그래서 타협했어.” 결과는? 하나님은 사울을 떠나신다.

신입사원 두 사람이 같은 부서에 입사했다. 술도 잘 마시고, 분위기도 잘 맞추고, 재능도 많은 불신자와, 술도 안마시고, 분위기도 못 맞추고, 재능도 없는 그리스도인이었다. 모든 칭찬과 관심은 술 잘 마시는 신입사원에게 쏠렸다. 옆의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재능 없음이 원망스럽기도 했다. 술자리 내내 무시당했다. 그러나 타협하지 않고 기다렸다. 술자리가 끝나고 팀장이 이야기했다. “자네 운전할 줄 아나?” 술 마시지 않은 그리스도인은 모든 팀원을 팀장님 차에 태우고 집 앞까지 운전해주며 대리운전 기사가 되었다. 회식 때마다 운전 하나로 주변의 환대를 받았다. 오히려 술 마시지 말라며 격려까지 받았다. 실력이 없어도 타협하지는 말라. 재능이 없어도 하나님을 기다려보라. 약간의 운전실력으로도 나를 높이시는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의 실력이다.

 

“포기하는 사랑"
(7. 7. 2013)

세상은 늘 자유를 찾는다. 젊음은 자유다. 젊을 때 먹고 마시고 즐길 자유가 있다. 그것이 세상이 사는 법이다. 그러나 기독교는 자유를 포기하라고 가르친다. 성경은 그것을 "자기부인"이라고 한다.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누가복음 9:23)

02
월드컵 우승, 04 세리아 A우승, 04 유럽챔피언스리그 우승, 04 이탈리아 슈퍼컵 우승, 07 유럽 챔피언스리그 우승, 07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레알 마드리드 축구선수 카카의 기록이다. 자유를 누릴만 한 사람이다. 젊음을 누릴 권리가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 앞에 자신의 권리를 포기했다. 카카는 여자친구와 서약을 하고 혼전순결을 지켰다. 유혹으로 힘들 때마다 여자친구와 함께 성령님을 의지했다고 고백한다. AC밀란 시절, 카카가 한창 신혼일 때도 그는 신혼생활을 즐기지 못하고 아내와 떨어져 살았다. 파파라치는 카카의 사생활을 털기 위해 하루종일 쫓아다녔다. 같은 AC밀란 동료들이 클럽에서 난리를 치는 동안 카카는 공원산책, 성경책 읽기, 플레이스테이션 하기로 시간을 보냈다. 결국 파파라치는 혀를 내두르며 짐을 싸고 떠났다는 것은 이제 유명한 일화다. 기독교 신앙에 따라 그는 절대 파티에 가지 않으며, 절대적으로 금주한다. 연봉의 1/10을 십일조한다
.

사랑은 포기를 즐거워한다. 사랑하는 대상에만 더 집중하기 위해서 포기한다. 예수를 제대로 믿는다는 것은 다른 것을 포기한다는 것이다. 예수님을 사랑한다는 말은 술을 포기하는 것이다. 돈을 포기하는 것이다. 휴가를 포기하는 것이다. 방학을 포기하는 것이다. 적절히 타협하며 사랑하는 길은 없다. 사랑은 원래 타협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먹고 살기 힘든 시대에 무리한 요구 아닌가? 카카는 대답한다. "축구선수를 마치면 목사가 되고싶다." 카카는 먹고살려는 사람이 아니었다. 카카는 축구보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사람이었다. 카카는 축구를 포기할 수 있는 사람이다. 카카가 예수님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라. 포기가 없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간단히 말하겠다. 계획이든 사람이든, 너희에게 가장 소중한 것과 기꺼이 작별할 각오가 없으면, 너희는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누가복음 9:34, 메시지성경)

"거지에서 시인으로"
(6. 30. 2013)

사람은 부족감에서 위기를 느낀다. 외모가 부족하다, 스펙이 부족하다, 돈이 부족하다. 부족감이 지속되면 원망하기 시작한다. 못난 부모 때문이다, 친구를 잘못 만나서 그렇다, 이 나라에 태어나서 이 꼴이다. 다 이런식이다.

노이마르크라는 20세 청년이 있었다. 등록금을 어렵게 모아 학교에 가지고 가는 중이었다. 노상강도를 만났다. 있는 돈 전부를 빼앗겼다. 대학 입학은 취소되고, 알거지가 되었다. 도시와 도시를 넘나들어 구걸하며 20대를 시작했다. 원망할 강도는 찾을 수도 없었다. 믿음 잃지 않고 기도했던 것 한 가지. "살아날 길을 찾게 해 주옵소서."

추운 겨울, 목사였던 친구가 그를 불쌍히 여겨 한 판사 댁 가정교사 자리를 소개해줬다. 어렵게 다시 대학에 들어간 그는 법학을 공부하며 시를 썼다. 그 시에 감동한 독일 공작은 그를 추천하였고, 그는 독일 궁정시인이 된다.

그가 스무살 거지였을 때 지은 찬송이 있다. 찬송가 312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이다. 오직 하나님만 내 길을 여실 수 있다는 깨달음의 가사가 2절에 나온다. "너 설레는 맘 가다듬고 / 희망 중 기다리면서 / 그 은혜로신 주의 뜻과 / 사랑에 만족하여라." 20대 거지가 시인이 되는 길이 여기에 있다. 이 찬양을 부르며 이렇게 기도해보라. "살아날 길을 찾게 해 주옵소서." 곧 시를 쓰게 될 당신을 기대한다.

“How to Make World-Selling Shoes”

(June, 23. 2013)

 

New Balance was founded in 1906, Boston, U.S. It started a making heel insert to relieve people’s foot from suffering who had been working all day long. The business got boomed, and now they are selling their shoes all over the world. Recently, they have manufactureed upto 70% of their products in U.S. even wages are high in their own country. They are proud of this fact and notice this on their website. They are not proud of their shoes, but U.S, where the origin of the company was built. It has been over 100 years.

 

Adidas was started in 1924, Germany. Rudi and Adi Dassler brothers launched a small shoes store. They supported one of athletes who was their favorite player to win in 1936 Berlin Olympics at first. After World War II,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m and Rudi Dassler started a new shoes store, which is Puma. Adi Dassler also launched another shoes store, Adidas. They never left Germany, which was a defeated nation in World War II. They made soccer shoes for the members of the German national team to comfort many German people. In 1954 Switzerland Worldcup, German soccer experienced a great growth, and Adidas finally hit the jackpot. It has been almost 100 years.

 

Nike was founded in 1964. A Co-founder Philip Knight was a middle distance athlete and Bill Bowerman was an athlete coach. They sold their shoes driving their trucks in sports grounds of several universities at first to keep Germany from being the sole lead in the sports equipment market. As America grows, Nike exploded in popularity. It has been almost 50 years.

 

Warren Buffet was asked a question, “How come you become a rich?” He replied, “It was possible because I was born in America.” Pray for your country, your nation before you pray for your personal life. There is no world-selling Korea sport shoes unless Korea experiences revival. “Blessed is the nation whose God is the LORD, the people he chose for his inheritance.”(Psalms 33:12)

 

전 세계에 신발팔기

(6. 23. 2013)

 

뉴발란스는 1906년 미국 보스턴에서 탄생했다. 하루종일 발에 무리가 가는 사람들을 위한 깔창을 만들었다. 그 사업이 커져 지금은 전 세계에 신발을 팔고 있다. 인건비가 올라도 제품의 70%를 미국에서 만든다. 그 자체를 자랑으로 여긴다. 홈페이지에 신발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뿌리가 된 미국을 자랑한다. 이제 100년이 넘었다.

 

아디다스는 1924년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루디다슬러와 아디다슬러 형제가 신발가게를 시작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육상 메달후보를 후원하면서 대박이 터졌다. 2차대전 후 형제는 갈등을 겪고, 루디 다슬러는 신발가게를 만들었다. 그것이 퓨마다. 아디다슬러도 따로 신발사업을 시작했다. 그게 아디다스다. 그들은 패전국 독일을 떠나지 않았다. 국민을 위로하기 위해 국가대표 축구화를 만들었다. 1954년 스위스 월드컵부터 독일 축구는 부흥했고, 아디다스는 대박을 쳤다. 이제 100년이 다 되어 간다.

 

나이키는 1964년 설립되었다. 창립자 필 나이트는 대학 중거리 육상선수, 빌 바우어만은 육상코치였다. 트럭으로 대학 운동장에서 신발을 팔았다. 스포츠 용품을 독점한 독일을 견제하고, 더 나은 미국 스포츠 용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업을 시작했다. 미국은 성장했고, 전 세계를 사로잡았다. 이제 50년이다 되었다.

 

워렌버핏은 자신이 부자가 된 이유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저는 미국에서 태어난 덕에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내 기도 전에 먼저 내 나라, 내 조국을 위해 기도하라. 대한민국의 부흥 없이 결코 당신의 신발은 팔리지 않는다. 여호와를 자기 하나님으로 삼은 나라 곧 하나님의 기업으로 선택된 백성은 복이 있도다(시편 33:12).

 

“A Person With A Dead Sense”

(June, 16. 2013)

 

Every person responds to a various kind of stimulus. There are two kinds of stimuli and responses, respectively. Good stimulus, bad stimulus and great response, little response. Success of life is just great responding to good stimulus and little responding to bad stimulus. Life is an accumulation of every response.

 

Every quote, wisdom, and advise are similar in and around the world. Some people say, "Be diligent, be innocent, and study hard". We have already heard these words too much and we do not care about similar stimuli. Then, a stimulus cannot be linked to any reponse. Many people know that they should be diligent and innocent but they finally end up giving up their attempts because it is too tough or difficult for them. Giving up responses means depravity itself. Depravity includes no transformation. People are just spending thier time to find funny things, comfort, and gossips. Isn’t it similar to the life of one that we know well?

 

Every pastor preaches similar messages of sermons. They say, “Put worship first, always give thanks to God, and attend a dawn prayer.” Boring. We think, “I could preach the similar sermon like you!” But they never know what the meaning of the real prayer is, and what the living power of worship is because they have not experienced those kinds of lives ever before. Spiritual stimulus comes in but no spiritual response comes out. Well, Spiritual depravity begins.

 

Double check your responses. I told one of my team members who is an ambiguous christian, “Just commit a sin, rather!” Then, he replied, “How come you say something like that?” Insensitivity is a worse sin than a sinful action. Be a foolish responder rather than being a person with a dead sense. Just try to get out of sinful behaviors rather than being a spiritually dead man. Please strive to attend a dawn prayer rather than avoiding every sermon, even attending every worship. Respond to your every stimulus again. You will experience spiritual power from heaven.

 

반응이 죽은 사람

(6. 16. 2013)

 

사람은 자극반응한다. 인생에는 좋은 자극과 나쁜 자극, 큰 반응과 작은 반응이 있다. 성공이란 나쁜 자극에 작게 반응하고, 좋은 자극에 크게 반응하는 것이다. 반응이 쌓여 인생을 이루기 때문이다.

 

살아보면 여기저기서 하는 소리들이 비슷하다. “성실하게 살아라, 정직하게 살아라, 공부해라.” 너무 많이 듣다보니 지겹다. 반복적인 자극에 무뎌진다. 더 이상 자극이 반응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것이다. 성실해야 하는데, 정직해야 하는데, 그렇게 살기 어려우니 아예 반응을 포기한다. 반응을 포기하는 것을 타락이라고 한다. 타락엔 변화가 없다. 결국 웃긴 것만 찾고, 위로만 찾고, 가십거리만 좇으며 산다. 어디서 많이 듣던 사람의 행동 아닌가?

 

설교를 들으면 목사가 하는 소리가 비슷하다. “예배가 우선이다, 감사하며 살라, 새벽기도가 능력이다.” 지겹다. 나도 설교 한 편 할 수 있겠다는 경지에 이른다. 그러나 기도가 뭔지, 예배가 뭔지는 자기도 모른다. 실제로 그렇게 살아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영적인 자극이 들어오는데, 영적인 반응은 전혀 없다. 영적인 타락의 시작이다.

 

반응을 점검하라. 하나님의 은혜를 잘 모르고, 애매하게 사는 청년에게 이야기했다. “차라리 나쁜짓을 한번 해봐라!” 그는 답했다. “어떻게 그런 말씀을 하실 수 있으세요?” 나쁜 짓보다 더 큰 타락이 무반응이다. 반응이 죽은 사람보다, 어리숙하게 반응하는 사람이 낫다. 차라리 죄를 짓고 빠져나오려고 발버둥쳐보라. 어떻게든 새벽기도 해보겠다고 몸부림쳐보라. 무뎌진 모든 자극에 다시 반응하라. 생명을 맛보게 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