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제목을 나눈다는 것”
(8. 22. 2021.)
데살로니가후서 3:1-2
나와 친하지 않은 사람과 대화를 나누면, 연약한 것을 나누기 어렵다. 호구조사를 하다가, 날씨 이야기 하다가, 업무 이야기 하고 끝이다. 사적인 영역을 더욱 감추는 시대이기에, 누군가의 속 깊은 고민과 삶의 근황을 듣기는 요원하다.
사도신경을 고백할 때,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것”을 믿는다고 고백한다. 서로 만나게 된 믿음의 동역자들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이 하나님의 계획이라는 뜻이다. 팀 모임, 헌금, 성찬, 동일한 말씀을 듣고 나누는 모든 것이 성도의 교제다. 그 중 핵심적인 것은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일을 통해, 자신의 계획을 이루신다.
바울은 초보 성도들을 가르치는 자였는데, 초보 성도들에게 기도를 부탁한다. “끝으로 형제들아 너희는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데살로니가후서 3:1) 가르치는 사람이 무슨 기도 부탁인가? 이것이 기도의 신비다. 기도는 기도 하는자, 기도 받는 자의 능력과 신분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고, 그분이 정하신 방식에 순종하여 기도를 부탁하는 것이다. 그래서 기도제목을 나누는 것은 위대한 일이다. 겸손의 표징이다. 세상에서는 이런 일들을 정말 이상하게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성도만이 할 수 있는, 성도만이 누릴 수 있는 일이다.
예수님이 성도와의 교제 중에 가장 크게 실망하신 일이 있다. 제자들이 기도하지 않는 것이다. “베드로에게 말씀하시되 너희가 나와 함께 한 시간도 이렇게 깨어 있을 수 없더냐”(마태복음 26:40) 베드로는 졸았지만, 예수님은 졸지 않으셨다. 그 기도의 능력 때문에, 우리는 십자가 구원을 얻을 수 있었다. 여전히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예수님을 신뢰할 때, 나도 주변을 위해 기도하며, 기도제목을 나누는 일을 소홀히 생각할 수 없다.
세상과 다른 삶을 살아가기를 원한다면, 어렵고 거시적인 이야기는 그만두라. 겸손하게 모임에 참석하여 다른 사람의 기도제목을 들으라. 그리고 내 기도제목을 말해보라. 그리고 진실로 기도해보라. 이 초보적인 순종이 없이는, 성도의 교제도 없고, 당신의 기도응답도 없다. 사생활을 운운하는 세상의 문화를 버리고, 기도제목을 나누는 일에 참여하라. 기도제목을 나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세상에 없는 위대한 일이다.
[1] 요즘 삶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표면적이고 겉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성도와의 교제와 일반 사람들과의 이야기에서 다른 점은 무엇이었습니까?
[2-3] 데살로니가후서 3장 1절을 읽어봅시다. 바울이 가르치는 자임에도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부탁한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기도 제목을 나누는 일은 누구를 신뢰하는 일입니까?
[4-5] 마태복음 26장 40절을 읽어봅시다. 제자들은 못했고, 예수님은 끝까지 감당하신 성도의 중요한 동역은 무엇입니까? 내가 세상의 문화에 휩쓸려 기도제목 나누기를 꺼려하고 무시했던 적은 없습니까? 내가 다시 종종 기도제목을 묻고 함께 기도해야 할 사람이 생각난다면 나누어봅시다. 나의 기도제목도 함께 나누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