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20805-910-11a/s-qtPxYwAduY8?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사랑의 구체화
(8. 7. 2022.)

마태복음 22:36-40

 

삶이 좁아져서 답답할 때가 있다. 어렸을 땐 다들 꿈이 크다. 온 세계를 돌아다니고 많은 사람을 만난다. 나이가 들수록 좁아진다. 한주간 돌아다니고 만난 사람들을 생각해보라. 한주 내내 같은 사무실이다. 한주 내내 같은 사람들만 본다. 삶의 의미와 보람도 함께 좁아지는 듯하다.

 

좁아지는 것은 성숙해지는 것이다. 예수님이 제일되는 계명을 말씀하신다.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도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마태복음 22:37-40) 도대체 하나님을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 하나님이 원하시는 이 세상 모든 일을 내가 다 할 수 있나? 도대체 이웃을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 온 세계 사람을 내가 만날 수 있나? 그렇지 않다면, 이 명령의 핵심은 한가지이다. 구체화시키는 것이다.

 

사랑은 구체화되어야 한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방법을 구체화시키라. 어느 교회를 다니고, 언제 기도하며, 얼마를 헌금하고, 어떤 사역을 맡을 것인가?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길이다. 가정에서 누구, 회사에서 누구, 친구 중에 누구를 특별히 신경써서 대할 것인가? 사랑한다면 점점 좁아져야 한다. 평생 가보지도 않을 교회, 평생 만나지도 않을 사람 기다리고 앉아있지 말라. 내게 주신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정하고 실행해야 한다.

 

예수님이 죄인을 사랑하셨다. 어떻게 죄인을 사랑하셨나? 모든 사람을 다 만나고 다니신 것이 아니다. 하나님이 자신에게 주신 한가지 일에 파고드시면서 사랑하셨다. 그것이 십자가였다. 십자가는 개인의 일이었지만, 하나님이 주신 일이었다. 하나님이 주신 한가지 일에 순종하니, 죄인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신자의 삶에도 이 능력이 유효하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싶은가? 이웃을 사랑하고 싶은가? 하나님이 이끄시는 한 교회, 한 사람에게 집중하라. 구체화시킬수록 열매가 나타난다.

 

추상적으로 말하는 곳에는 늘 열매가 없다. 내가 어떤 영역을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는가? 그곳이 내 사랑이 있는 곳이다. 하나님 사랑, 이웃사랑을 구체화시키라. 가장 좁은 길이, 가장 위대한 길이다.

 

[1] 나이가 들면서 점점 삶의 반경이 단순화되고 좁아진다고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나는 점점 어떤 장소, 어떤 사람, 어떤 직장으로 좁아지고 있습니까? 나누어봅시다.

 

[2-3] 마태복음 22장 37-40절을 읽어봅시다. 이 말씀은 어떻게 적용해야만 순종할 수 있습니까? ‘다 할 수는 없다. 내가 할 것을 정해야 한다.’라는 것을 느꼈던 경험이 있습니까?

 

[4-5] 예수님이 죄인인 우리를 향한 사랑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신 방식은 무엇이었습니까? 구체화된 행동은 어떤 결과를 낳았습니까?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내 삶에서 어떻게 실행할지 구체화시켜봅시다.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20731-12-199-40a/s-oqCa49s12sq?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더 가지 않아도 되는 곳
(7. 31. 2022.)

시편 96:8-9

 

좋은 것을 만나면, 그곳에서 멈춘다. 여행을 간다. 음악을 듣는다. 맛있는 것을 먹는다. 그 감동과 기쁨이 엄청나다. 사람은 그때 다른 곳으로 움직이려 하지 않고 거기서 멈춘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그곳에 오게 한다. “이 음악 좀 들어봐!”, “이 여행지는 꼭 가야해!”, “이건 꼭 먹어봐야 해!”

 

하나님은 찬양과 영광을 받기에 합당하신 분이다. “여호와의 이름에 합당한 영광을 그에게 돌릴지어다 예물을 들고 그에게 들어갈지어다 아름답고 거룩한 것으로 여호와께 예배할지어다 온 땅이여 그 앞에서 떨지어다”(시편 96:8-9) 예배란 무엇인가? 하나님에서 멈추는 것이다. 더 가지 않아도 되는 곳이다. 하나님 그 분이 좋다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한 것이다. 하나님을 만나면, 더 원하지 않게 된다. 그곳에 멈추고 싶어진다. 그분만을 즐거워하는 것이 예배이다.

 

예배를 통해 더 가고 싶어 한다면, 아직 하나님을 만나지 못한 것이다. “찬양을 계속 부른다고 도대체 무엇이 달라지는거야?”, “저 말씀을 듣는다고 내 삶에 도움 될게 있어?”, “응답되지 않는데 뭐하러 기도해?” 우리는 하나님을 통해 언제나 더 가고 싶어한다. 아이유의 노래를 현장에서 듣는 자체가 영광 아닌가? 손흥민과 악수한다고 내 인생 달라지나? 우리는 늘 내게 도움되지 않을 일 하면서 산다. 찬양받기 합당한 것에 박수치며, 돈을 펑펑 쓰며, 환호하는 그 자체가, 인생의 기쁨이자 이유임을 알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누리기에 합당하지 않은 자였다. 죄인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수님은 십자가를 통해 죄인도 하나님 앞에 서기에 합당하게 만들어 주셨다. “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골로새서 1:12) 예배의 차이가 여기에 있다. 이 땅의 모든 찬양할 것들은 나는 여기에 있고, 그 대상만 찬양하게 만든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의 존재까지 천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나를 변화시킨다. 그래서 예배가 주는 기쁨은 이 세상에서 찾을 수 없다.

 

무엇을 찾아 더 돌아다니고 있는가? 예배에 와서까지 하나님을 평가하고 분석하고 이익을 찾으려 하지 말라. 합당한 영광을 그에게 돌리라. 찬양하라. 예배자는 예배하는 그곳에서 멈춘다.

 

[1] 음식, 여행, 음악 등 내가 그 자체로 감동을 느껴서 머물렀던 이 땅의 것들을 소개해봅시다. 어떤 감격이 있었습니까? 그때 내가 어떻게 행동했습니까?

 

[2-3] 시편 96편 8-9절을 읽어봅시다. 예배란 무엇입니까? 내가 하나님으로 충만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예배에 참석하는 마음은 어떻게 달랐는지 나누어봅시다.

 

[4-5] 이 땅의 찬양할 만한 것과,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은 무엇이 다릅니까? 하나님을 기대하며, 그분 앞에서 멈추기 위해 변화시켜야 할 내 삶의 태도를 나누어봅시다.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20724-11-1615-198a/s-GGubniWBG6u?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행위의 시인
(7. 24. 2022.)

디도서 1:16

 

내키지 않으면 안 해도 된다. 너의 마음이 중요하다. 이것이 시대의 생각이다. 그래서 누구도 상대방의 행위를 탓할 수가 없다. 내 마음은 최고의 권위가 되었다. “내가 싫다는데 누가 뭐라 그래?”

 

내가 그리스도인이 되었음을 고백하는 최후의 장소는 행위이다. 바울이 그레데라는 섬에서 사역하는 디도에게 그레데 사람들을 설명한다. “그들이 하나님을 시인하나 행위로는 부인하니 가증한 자요 복종하지 아니하는 자요 모든 선한 일을 버리는 자니라”(디도서 1:16) 모두 그리스도인이었지만, 행위로는 아무 것도 변화되지 않는 사람들이니 조심하라는 것이다. 마음 없는 행위가 가식적이라고 배웠다. 아니다. 행위 없는 마음이 가식적이다.

 

그리스도인은 누구인가? 내키는 대로 행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예수님 사랑하는 마음이 있는가? 내키지 않아도 행위로 시인해야 한다. 그레데 사람들은 거짓말 했고(12), 게으름뱅이이고(12), 거슬러 말하며(2:9), 술의 종이 되고(2:3), 모함하고(2:3), 절제하지 못하는(2:2) 사람들이었다. 이렇게 살면 편하다는 것 누가 모르나? 내키지 않는 일을 향해 한걸음 나아가는 것이 곧 신앙 고백이다.

 

예수님이 나를 마음으로 사랑하셨다. 그리고 행위로 시인하셨다. 이 세상 그 어느 신도 나를 사랑하는 마음을 행위로 고백한 존재가 없다. 그러나 예수님의 나를 향한 마지막 시인은 십자가였다. 십자가로 나를 사랑하심을 시인하셨다.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빌립보서 2:8)

 

행위로 마음을 보여주신 예수님 만날 때에만, 내키지 않는 행위로 나아갈 수 있다. 하나씩 행위로 시인하라. 내 마음이 최고라는 우상을 버리라. 마음내키지 않으면 안 해도 된다는 가증한 마음을 회개하라. 예수님이 행위로 순종하실 때 부활의 능력이 나타난 것처럼, 우리도 행위로 예수님을 시인할 때 그의 능력을 경험할 것이다.

 

[1] 누군가에게 어떤 행위(혹은 라이프스타일)를 권하거나 훈계하기 어려웠던 적이 있습니까? 요즘 사람들의 행동의 중심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마음 내키지 않아서 하기 어려웠던 일이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2-3] 디도서 1장 16절을 읽어봅시다. 우리의 신앙은 무엇으로 고백되어야 합니까? 교회 다니는 사람들이 쉽게 변화되지 않는 행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4-5] 예수님이 우리를 사랑하심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그 행위의 시인에는 어떤 능력이 나타났습니까? 내가 예수님의 능력을 확신하며, 내키지 않아도 행위로 신앙을 고백해야 할 삶의 영역을 나누어봅시다.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20717-10-151-1614a/s-wZqSEhI0Yqg?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대가(代價)가 아닌 것
(7. 17. 2022.)

에베소서 2:8

 

사람은 평생 자신이 일한 대가를 받으며 산다. 왜 급여를 받는가? 죽어라 일했으니까. 왜 칭찬을 받는가? 성과를 잘 냈으니까. 대가를 받지 못한다는 말은 무능하다는 말과 같다. 내게 능력이 없으면, 대가도 없다.

 

예수님을 믿은 후에 성도의 삶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대가가 아닌 것을 주고 받는 삶’이 된다.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에베소서 2:8) 내가 일하지 않았는데, 하나님이 구원을 선물로 주셨다. 대가가 아닌 것을 주신 것이다. 그것을 은혜라고 한다. 남은 인생도 확신해야 한다. 당신의 삶에는 대가가 아닌 것이 선물로 계속 올 것이다. 한가지 더, 남은 인생에 힘써야 한다. 당신의 삶은 대가가 아닌 것을 끊임없이 주는 삶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일주일간 어떤 거래를 하며 살았는가? 친절한 자에게 친절하게 대했다. 일을 하고 돈을 받았다. 성격이 좋은 사람들과 시간을 함께 보냈다. 여기에 무슨 은혜가 있는가? 대가가 없는 일은 아무 것도 없지 않았는가? 나에게 해준 것이 없는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라. 연락하지 않은 사람에게 먼저 연락하라. 성과내지 못한 사람에게도 보상해보라. 왜 나의 삶에는 대가 없이 부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느껴지지 않을까? 혹시 대가 없이 행하는 일이 없기 때문 아닌가?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누구에게 선물 주러 오셨는지 말씀하신다.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 하시니라”(마태복음 9:13)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은혜를 주신 것이 아니다. 죄인이기 ‘때문에’ 은혜를 주셨다. 은혜의 유일한 조건은 우리의 죄인됨이다. 당신은 왜 구원을 받았는가? 그 동일한 조건을 타인에게도 적용하라. 성격 나쁘고 외모 별로고 능력 없는 사람에게도 다가가 보라. 은혜가 그 사람을 변화시킬 것이다.

 

내가 기대하고, 내가 받기를 원하는 대로 살라. 한 것도 없지만 은혜 받기를 원하는가? 대가가 아닌 것을 베풀라. 내 삶의 길도 함께 열릴 것이다.

 

[1] 이 세상에서는 대가를 주고받으며 살아갑니다. 능력 부족으로, 혹은 억울함으로 제대로 된 대가를 받지 못한 경험이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역으로, 이유 없이 도움을 받고 은혜를 입었던 경험이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2-3] 에베소서 2장 8절을 읽어봅시다. 우리가 받은 구원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습니까? 타인과의관계에서 성도의 삶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합니까?

 

[4-5] 마태복음 9장 13절을 읽어봅시다. 예수님이 은혜 베푸시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죄인입니까? 동일한 방법으로, 내 삶에서 앞으로 누구에게 대가 없는 은혜를 베풀 수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20710-9-141-33a/s-2TywnDwf8ho?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https://soundcloud.com/hansaram-church/20220708-67-12a/s-FjFuvEbnsIY?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