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는 그릇의 긴장”
(12. 29. 2024.)
고린도후서 4:7
홀로 있을 때 풀어진다. 그러나 무언가 같이 있으면 긴장해야 한다. 쟁반에 커피 컵을 올리는 순간 커피 쏟을까봐 조심히 운반한다. 그렇게 난폭 운전하던 사람이 차에 누구 태우면 안전운전한다. 집 청소를 하려면 집에 누구 초대하면 된다. 누군가 함께하면 긴장하게 된다.
예수님은 우리 삶에 함께 들어와 거하시는 분이다.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심히 큰 능력은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고린도후서 4:7) 예수님은 우리의 보배시다. 우리는 질그릇에 예수님을 담았다. 귀한 것을 담아 내는 인생임을 인식할 때, 삶의 모든 순간의 행동에 긴장감이 생길 수밖에 없다.
예수님이 거하신다는 긴장이 사라진 삶의 영역을 점검하라. 나의 생활에 예수님을 담아내야 한다. 예수님이 함께하신다는 생각이 사라지니 그런 말투가 함부로 나오는 것이다. 예수님이 이 공간의 주인 되신다는 긴장감이 사라지니 공간의 주인이 내가 되는 것이다. 누가 시간 마음대로 써도 아무 말도 안하니 시간에 대한 긴장감도 사라진다. 보이는가? 내 삶의 모든 붕괴는, 내 자신이 보배를 담은 그릇이라는 긴장감이 사라진 데서 나온다.
마지막까지 긴장을 놓지 않으신 분이 계시다. 예수님이다. “이르시되 아빠 아버지여 아버지께는 모든 것이 가능하오니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마가복음 14:36) 힘들고, 지친 상태이니 긴장 풀릴만한 상황이었다. 예수님은 아버지의 뜻을 삶에 담아내신 긴장감을 잃지 않으셨다. 그 순종 때문에, 죄인인 내 삶에도 하나님이 거하실 수 있게 되었다.
건강한 긴장감을 회복하라. 예수님의 영이신 성령님이 언제나 우리와 함께하신다. 우리 내면에 성령님이 충만히 거하시게 하라. 그분을 불편하게 만들지 말라. 그분을 인식하는 긴장감이 내 삶을 생명력 있게 회복시킬 것이다. 무엇인가 담겨 있다면, 마땅히 긴장해야 한다.
[1] 긴장이 풀렸다가, 무엇인가를 의식하면서 긴장감이 생겼던 경험들을 나누어 봅시다. 내 행동은 어떻게 달라졌습니까?
[2-3] 고린도후서 4장 7절을 읽어봅시다. 성경은 우리를 무엇으로 묘사합니까? 예수님은 무엇으로 묘사합니까? 그리스도인의 삶은 어떤 긴장감이 있어야 합니까? 그것을 처음 느꼈던 경험들이 있다면 나누어 봅시다.
[4-5] 마가복음 14장 36절을 읽어봅시다. 예수님이 끝까지 삶에 담아내셨던 것은 무엇입니까? 그분의 긴장감을 통해 내 삶에 주어진 특권은 무엇입니까? 내 삶에 건강한 긴장감을 회복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지 나누어 봅시다.
'한사람교회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신하는 삶”(1. 12. 2025.) (0) | 2025.01.08 |
---|---|
“그대로 간다”(1. 5. 2025.) (0) | 2024.12.31 |
“각자가 예수님께로”(12. 22. 2024.) (3) | 2024.12.19 |
“반응은 하나님께”(12. 15. 2024.) (1) | 2024.12.11 |
“나만 만날 수 있는 사람”(12. 8. 2024.) (2)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