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하다는 말의 속임수
(10. 31. 2021.)

잠언 14:4

 

사람들은 대화할 때 본능적으로 자신의 수고로움을 이야기한다. “부장님 때문에 정말 죽겠다니까”, “아이를 키우는 게 얼마나 힘든지 몰라”, “사업 때문에 요즘 골치 아파”. 타인의 삶이 피곤하다는 말을 들을 때, 우리는 나와 상대가 누리고 있는 것을 보지 못하게 된다.

 

상대의 피곤하다는 말에 속지 말라. 피곤은 보람과 결과로부터 파생된 일부분일 뿐이다. 부장님 때문에 힘들지만, 그 회사에서 누리고 그가 얻는 유익은 숨겨져 있다. 아이 때문에 힘들다고 하지만, 아이를 키우며 오는 보람은 남들은 절대 모르는 것이다. 피곤과 수고는 인생의 그림자일 뿐이다. 인생은 정면에 있는 보람과 기쁨에 집중해야 한다. “소가 없으면 구유는 깨끗하려니와 소의 힘으로 얻는 것이 많으니라”(잠언 14:4) 소가 있으면 더러워지지만, 소의 주인은 절대 그 소를 팔지 않을 것이다. 수고보다 얻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내 마음 속 유혹에도 속지 말라. 남들이 나보고 힘들겠다고, 수고한다고 말할 때 자기 연민에 빠지지 말라.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수고는 결코 헛된 것이 없다. 수고를 통한 기쁨과 성취가 약속되어 있는 것이다. 힘들다, 피곤하다, 골치아프다, 지친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는가? 수고와 피곤이 인생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자기 연민을 벗어나, 하나님이 주신 보람과 즐거움에 집중하라.

 

예수님의 십자가는 분명히 수고였다. 피곤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뒷면이었다.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히브리서 12:2) 기쁨이 앞에 있었다. 그것을 바라보신 주님 때문에, 우리에게 영생이 주어졌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라면 오늘의 내 삶에서도 확신할 수 있다. 수고도 많고, 피곤도 많지만, 앞에 있는 기쁨에만 집중하면, 분명히 십자가와 동일한 승리와 성취가 있을 것이다.

 

피곤과 수고로움에 지배당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내게 주신 일과 형편에 감사와 만족, 기쁨을 표현하라. 그것이 피곤하다는 말에 속지 않는 길이다.

 

[1] 나와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형편을 하소연하는 말들을 생각해봅시다. 수고로움과 피곤함에 집중하면 무엇을 보지 못하게 됩니까?

 

[2-3] 잠언 14장 4절을 읽어봅시다. 소의 주인이 소를 키우면서 감수해야 할 수고와 피곤은 무엇입니까? 그래도 소의 주인이 소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4-5] 예수님의 십자가는 수고였지만, 예수님이 십자가를 참으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 삶에도 동일한 능력이 임하고 있음을 확신하며, 수고와 피곤보다 감사와 주시는 유익에 집중해야 할 삶의 영역을 나누어봅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