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소망이 생기는 날
(7. 3. 2022.)

시편 39:5-7

 

신앙은 추상적이다. 반면 내 삶의 현실은 구체적이다. 요즘 친구들에게 전도하면 이렇게 묻는단다. “교회 가면 주식 투자하는 법 알려주나요?” 나의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생각에 신앙은 재미없게 느껴진다.

 

현실적인 것은 결국 소망을 주지 못한다. 다윗이 열심히 산 다음에 몇 가지를 깨닫는다. (1) 인생이 짧다. “나의 날을 한 뼘 길이만큼 되게 하시매” (2) 내 존재감이 쉽게 사라진다. “각 사람은 그림자 같이 다니고” (3) 돈 벌다가 쓰지도 못하고 죽는다 “재물을 쌓으나 누가 거둘는지 알지 못하나이다” 현실을 치열하게 살아간다고 해서 인생의 보람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나의 현실 자체가 부조리이다. 현실적으로 살아갈수록, 현실에는 소망 없음을 느낀다.

 

현실의 허상을 깨달을 때, 추상적이었던 신앙이 현실로 내려온다. “주여 이제 내가 무엇을 바라리요 나의 소망은 주께 있나이다”(시편 39:7) 현실 속에서 신앙만이 진짜 소망임을 깨닫는다. 신자들은 ‘현실적’이 되라는 말에 속으면 안된다. 현실적으로 살아도 곧 절망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신앙으로부터 오는 소망으로, 절망의 현실을 바라보는 사람들이다.

 

사람들이 예수님께 현실적이 되라고 소리쳤다. “네가 너를 구원하여 십자가에서 내려오라 하고”(마가복음 15:30) 인류 구원 같은 소리 하지 말고 현실적으로 삶을 살아가라는 말이다. 내려간다고 소망이 생기나? 십자가 밑의 현실은 악의 구렁텅이였다. 오히려 소망 가지고 십자가에 있을 때, 죄인은 구원받고, 부활은 곧 현실이 되었다.

 

현실적이 되라는 말에 유혹받지 말라. “기도 그만 하고 여행이나 다녀라!”, “돈도 못 벌면서 교회나 다니고 있냐!”, “결혼도 못했으면서 무슨 팀모임이냐!” 그들은 모두 현실의 문제가 닥쳤을 때, 소망 없이 죽을 것이다. 현실이 열악해도 하늘의 소망을 붙들라. 그 사람이 산다.

 

[1] 신앙은 추상적이며,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말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현실에 닥친 문제 앞에 신앙을 소홀하게 생각했던 나와 주변의 이야기가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2-3] 시편 39편 5-6절을 읽어봅시다. 다윗은 치열한 현실 속에 왜 절망했습니까? 39편 7절을 읽어봅시다. 현실 속에서 다윗은 다시 어떻게 신앙을 회복합니까?

 

[3-5] 마가복음 15장 30절을 읽어봅시다. 예수님은 어려운 현실 속에 어떤 결정을 하셨습니까? 그 결과는 무엇입니까? 현실의 한계를 깨닫고, 그 속에서 다시 신앙의 소망이 살아났던 경험이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내가 오늘의 현실에만 파묻히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