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컷칼럼22 “남자, , 고난
(12. 31. 2014)

 

남자는 모든 것을 술로 푼다. 그래서 금주라는 덕목에 반기를 드는 사람이 많다. “술 취하지 말라 이는 방탕한 것이지 오직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에베소서 5:18)라고 말씀을 이야기한다. 그러면 취하지 말라고 했지 마시지 말라고는 안 했다!”라는 수십 년이 넘은 지겨운 대답을 한다. 취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기분이 알딸딸해진다는 것 아닌가? 취하지 "않기" 위해, 알딸딸해지지 않기위해 술을 마신단 말인가? 그런 사람이 도대체 어디 있는가? 솔직하지 않은 핑계는 그만 대자. 술이 끌린다고 그냥 인정 하자. 우리는 모두 취하려고 술을 마신다.

 

취하는 것이 왜 나쁜가? 기분 좋은 것이 왜 나쁜 것인가? 왜 기독교는 술의 철학과 충돌하는가? 이 문제는 고난에서부터 풀어야 한다.

 

이 시대 최고의 가치는 무엇인가? ‘나의 행복이다. 좋은 가치관 아닌가? 그런데 이 삶의 목표를 누리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나의 행복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있다. 그것이 무엇인가? ‘고난이다. 사람이 불합격, 실패, 질병, 사고를 당하면 충격에 빠진다. 왜? 나의 행복 플랜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고난을 행복의 적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고난에 대해 1)어떻게든 최소화 시키거나 2)어떻게든 피하거나, 그것마저 실패하면 3)자살해버린다. 고난의 벽을 넘을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술과 고난이 무슨 상관인가? 승진에 실패하면 술 마신다. 실연에 빠지면 술 마신다. 취업에 실패하면 술 마신다. 무슨 말인가? 고난 때문에 내 행복이 막혔으니까 술로 나를 기분 좋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마시고 풀어버리자는 것이다. 마시면 풀리는가? 기분이 좋아지면 끝인가? 그것은 해결이 아니라 망각이다. 그것은 해결이 아니라 회피이다. 고난이 잘 가던 나의 길을 가로막았다. 그래서 너무 슬프고 원망스럽다. 한스럽다. 그 모든 기분을 술에 담자는 것이다. 그리고 기대한다. “다음 고난은 절대 나에게 찾아오지 않기를!” 그런가? “행복 가치관의 치명적인 한계가 이것이다. 이 술의 철학은 고난에 대한 답을 주지 못한다. 고난을 없애주지도 못한다. 술은 잠시 기분이 좋아진 후 절망이다. 행복 가치관의 끝은 허무이다. 끝까지 내 삶의 고난을 책임져주지는 않고 기분만 좋아지라고 말한다. 이것이 술의 철학이다.

 

기독교는 고난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하나님이 일하시는 통로로 본다. 애매한 말인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훨씬 영적이고, 매우 현실적이다. 기독교는 애초에 고난을 다 이해하거나 미리 막을 수 있다고 전제하지 않는다. 이해하지 못하는 고난이 있음을 받아들인다. 피할 수 없는 고난도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고난은 하나님 손에 있음을 믿는다. 그 고난 속에서 하나님이 하고 싶으신 것이 있음을 안다. 그리고 하나님은 고난 속에서 좋은 것을 얻어 갈 수 있게 하신다. 그래서 고난이 오면 긴장한다. 그분을 만날 때이자, 좋은 것을 얻을 타이밍이기 때문이다. 그 안에 있는 메시지를 파헤친다. 취할 시간이 아니라, 정신차려야 할 시간임을 깨닫는 것이다.

 

전 세계무역센터 부총재 이희돈 장로가 있다. 유럽으로 유학을 갔으나 돈도 없고, 공부도 못했다. 재정의 고난, 학벌의 고난이었다. 그러나 유럽에 오게 하신 하나님의 뜻이 있음을 믿고 고난 가운데 전진했다. “해외에 왔으니 술 퍼 마시고 놀자, 내가 기분 좋으면 그만이다.” 하지 않았다. 캠퍼스를 돌고 돌았다. 어렵게 옥스퍼드 학장을 만났다. 그가 말했다. “옥스퍼드에서 공부하고 싶습니다.” 학장이 대답했다. “등록금이 비싸다. 그리고 실력은 되냐?” “부족하면 배우겠습니다.” “돈은 있냐?” “이 학교에서 장학금을 주면 되지 않습니까?당찬 모습에 감동한 학장이 말했다. “잘 곳을 구해오면 입학시켜 주겠다.” 그는 중국인 전도를 준비하던 옥스퍼드 청년을 만나 숙소를 얻고, 입학을 체험한다. 그는 취하지 않고 하나님과 고난을 '살았다.' 이것이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고난에 대한 남자의 태도이다.

 

취하는 것은 결코 당신이 고난에 직면할 수 없게 만든다. 이것이 술의 철학과 기독교 철학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당신은 삶의 고난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 당신의 삶을 평가 받고 싶다면, 당신이 고난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라. 당신이 가진 세계관이 고난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라. 행복 추구의 끝에서는 언제나 고난이라는 넘사벽을 만나게 된다. 그 술의 철학으로는 결코 고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남자는 고난 앞에서 하나님을 만나야 한다. “고난 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good for me) 이로 말미암아 내가 주의 율례들을 배우게 되었나이다”(시편 119:71) 남자에게 유익이 되는 고난을 정면으로 만나라. 자꾸 술로 기분을 희석시키지 말라. 100% 슬픔, 100% 아픔, 100% 실패를 그대로 하나님께 가져가라. 그 고난의 벽을 뛰어넘게 하시는 하나님을 만나라. 그것이 남자의 고난관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