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점검하는 법"(6. 26. 2016)
"사랑을 점검하는 법"
(6. 26. 2016)
회사의 여자 팀장님이 있었다. 부하 직원으로서 나는 그분이 좋아하실 만한 일을 생각했다. 일을 잘하시는 분이니, 좋은 보고서를 원하실 것이라고 생각했다. 팀원들과 커피를 마시던 중 신기한 말을 들었다. "나에게 뭘 잘 해주려고 하지 않아도 되요. 저는 팀원들이 제 아들 유준이가 좋아하는 걸 챙겨주면 그때 가장 기뻐요."
김형중은 "그녀가 웃잖아"라는 곡에서 상대를 향한 사랑을 이렇게 고백한다. "누군가 내게 니 사랑과 행복중 하나만 고르라면 / 택하라면 / 한치 망설임도 없이 언제나 난 니 행복이고 싶어 / 니가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해도 / 내가 널 사랑하니까 / 남자니까 / 우는건 아픈건 내가 할게 넌 웃어줘"
사랑은 내가 아닌 다른 것을 위해 살기 시작하는 것이다. 내가 무엇을 받는 것보다, 그가 잘 되는 것이 기쁘다면, 당신은 그를 사랑하는 것이다. 사랑은 내가 원하는 기쁨을 "참고", 그의 기쁨을 "억지로" 맞춰주는 것이 아니다. 기쁨의 대상이 바뀌는 것이다.
예수님은 자신의 기쁨보다 나의 기쁨을 원하셨던 분이다.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이름은 내 기쁨이 너희 안에 있어 너희 기쁨을 충만하게 하려 함이라"(요한복음 15:11) 예수님은 자신의 기쁨을 억지로 포기하시지 않으셨다. 자신의 기쁨을 "기쁘게" 포기하셨다. 그래야 나에게 기쁨이 온다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으셨다. 예수님은 늘 나를 생각하신다. 그것이 오늘 나를 다시 일어서게 한다.
하나님은 왜 자꾸 우리보고 하나님을 마음 다해 사랑하라고 하시는가? 살다 보면 지긋지긋한 나의 이기심과 자기 중심적인 마음에 놀랄 때가 있다. 하나님은 그 탈출구를 주셨다. 그것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사람이 하나님을 믿을 때, 하나님을 즐길 때, 그때 자유로울 수 있음을 알고 계셨다. 사랑은 나를 벗어나게 한다. 사람은 사랑해야만 자유로워진다. 사람은 하나님을 사랑해야만 자기 자신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하나님을 섬길 때 부담스러울 때가 있다. 지켜야 할 일,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은 것 같다. 그럴 땐 억지로 지키려고 하지 말고, 사랑을 다시 생각해보라. 하나님의 기준에 "억지로 맞춰드린다"고 생각하지 말고, 사랑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라. 그래야 하나님을 섬기는 돈과 시간을 아끼고 아끼려는 나의 비좁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하나님에 대한, 사람에 대한 희생과 헌신이 부담스러운가? 돈 쓰고 시간 쓰는 게 아까운가? 억지로 하지 말고 다시 사랑부터 하라. 먼저 나를 사랑하는 것에서 벗어나라. 가식과 이기심, 고집과 자기연민에서 벗어나는 길이 여기에 있다.
[1-3] 살면서 내가 아닌 다른 것을 위해 살면서 기뻤던 적이 있습니까? 그때 행동과 마음은 어땠습니까?
[4-5] 예수님은 억지로 참으셨습니까? 기쁘게 참으셨습니까? 하나님이 속으로는 나를 억지로 참고 계실 것이라고 느꼈던 경험을 나누어봅시다. 정말 그분은 나를 지금 억지로 참고 계십니까?
[6-7] 내게 주어진 환경과 의무 때문에 하나님의 사랑을 오해하는 삶의 영역이 어디입니까? 내가 사랑을 다시 점검해야 사람은 누구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