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람교회 칼럼

“반 년 동안 함께하심”(6. 29. 2025.)

서창희 2025. 6. 25. 15:01

반 년 동안 함께하심
(6. 29. 2025.)

시편 50:23

 

누군가에게 잘해주고 싶었던 마음이 한순간에 사라지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감사를 표하지 않는 것이다. 내가 선의를 베푼 것인데 감사를 모를 때, 돕고 싶었던 그 사람은 가장 싫은 사람으로 바뀐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는 감사이다.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그의 행위를 옳게 하는 자에게 내가 하나님의 구원을 보이리라”(시편 50:23) 감사는 예배이자, 하나님을 인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이다. 잘 보여야 할 사람 쫓아다니며 온갖 선물과 축의금을 보낼수록, 하나님께 가증스러운 일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을 향한 감사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6월의 마지막 주일이다. 반년이 지났다. 마땅히 감사해야 할 일을 생각해보고, 한해 동안 나와 우리 가정에 어떤 일을 행하셨는지 돌아보라. 잊어버리고 있었던, 상대가 베푼 은혜를 기억하고 의도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감사를 회복하는 길이다. (1) 하나님께 감사하라. 감사로 제사 드리라고 했다. 제사는 예배다. 나만이 아는 감사를 예배의 헌신과 헌금으로 표현하라. 내가 사람에게 표현하는 것보다 훨씬 그 금액과 빈도가 큰지 점검하라. 감사헌금은 일상이 되어야 한다. 세상의 일들에 쏟는 시간보다, 더 많이 예배 드리라. 그것이 감사의 표현이다. (2) 사람에게 감사를 표현하라. 당연히 감사한 것을 서로가 안다. 그 평범한 것에 감사를 인식하고 있음을 의도적으로 전달하라. 상대방을 영화롭게 하는 길이다.

 

예수님이 감사하셨던 순간이 있다. “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마태복음 26:27) 잔을 들고 감사하셨다. 자신의 죽음을 예고하는 사건 앞에서 감사하신 것이다. 당면한 죽음 앞에 감사하셨던 예수님의 감사 고백 때문에, 내 삶에 영생이 주어졌음을 믿는가? 현재 당면한 일들도 그 피의 능력으로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질 것을 믿기에, 오늘 내 삶이 어떠하든지 무조건 감사할 수 있는 것이다.

 

전반기가 지나고 하반기를 맞이하기 전에, 모든 원망과 감사치 못하는 마음을 내려놓으라. 마땅히 그분을 인정하고, 기대하는 마음으로 하반기를 맞이하라. 반 년 동안 내 삶에 여전히 함께하신 분이 나의 하나님이시다.

 

[1] 감사를 모르는 사람을 보며 좋았던 기분이 완전히 나빠졌던 경험이 있습니까? 반대로 감사의 표현을 받아 기뻤던 경험이 있습니까? 감사를 통해 주고받았던 기쁨과 실망감이 있다면 나누어 봅시다.

 

[2-3] 시편 50편 23절을 읽어봅시다. 여호와께 제사드리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어떤 결과를 가져옵니까? 내 삶에 하나님과 사람에게 합당히 감사를 표현하는 습관이 되어있는지 나누어 봅시다.

 

[4-5] 마태복음 26장 27절을 읽어봅시다. 예수님이 잔을 들고 고백하신 것은 무엇입니까? 그 잔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그 잔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습니까? 오늘 어려운 내 삶 속에서도 내가 감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반 년 동안 가장 감사했던 일들을 나누고, 표현해봅시다.